ABOUT ME

  • 월스트릿저널에 실린 한국의 결혼장려운동과 독자들의 반응 feat. 손가락하트에 담긴 뜻
    카테고리 없음 2025. 3. 29. 11:47
    반응형

    월스트릿저널을 구독하면서 한국에 대한 기사가 뜨면 관심있게 보는 편인데요. 

     

    아쉽게도 외신에 뜨는 한국 관련 기사는 주로 북한에 집중된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가뭄에 콩 나듯 한국의 문화나 사회적인 문제에 대한 기사가 나면 반가운 마음에 읽어봅니다. 

     

    엊그제 뜬 기사는 '정부의 1만 4천 달러 지원금도 한국의 싱글들을 결혼하게 만들 수 없다'는 제목의 기사로 

    한국 사회의 저출산 문제와 결혼을 장려하기 위해 정부가 하고 있는 프로그램, 이에 대한 젊은이들의 반응을 다룬 기사입니다. 

     

    출처: Wall Street Journal

     

    기사의 내용을 좀더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한국의 출산율은 .75로 하락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 이에 대한 대응으로 정부와 기관, 종교 단체 등에서 젊은이들의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다양한 재정지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예를 들어 부영그룹에서는 직원이 출산을 하면 1억원 가까이 지원하며 대구 사하구에서는 데이트, 출산 비용 등을 지원한다. 
    • 하지만 한 설문에 의하면 다수의 한국인 싱글들에게 결혼은 'tough sell'(설득하기 어려운 일)이다. 이들은 결혼할 필요성을 못느끼고, 올라가는 생활비, 장시간 일해야 하는 근무환경 등이 요인이며 특히 여성의 경우 출산 이후 재취업에 있어 큰 어려움을 겪는다. 
    • 정부의 출산장려 정책에 대한 싱글들의 다양한 반응들도 소개된다. 이런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한 서류작업이 골치아프다는 지적도 있고, 참여해서 교제로 이어진 케이스도 있습니다. 또 이런 프로그램에 대해 부모님이 알면 참가를 독촉할 것이라 걱정하는 반응도 있다. 

     

     

    출처: Wall Street Journal

     

    한국의 저출산 문제와 이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담은 건 좋은데 

    이 현상에 대한 배경과 원인은 위에 캡쳐한 한 단락이 전부라는 것이 아쉽네요. 

     

    한국의 사회적 상황에 대해 자세히 모르는 대다수의 독자들을 위해  

    한국에서 결혼을 하기 위해 들어가는 비용, 많은 젊은이들에게 내집 마련이 아득하게만 느껴지는 현실, 부동산 문제 등을

    조금만 더 자세하게 다뤄주었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글에 대한 월스트릿 독자들의 반응이 궁금해서 커멘트 섹션을 봤는데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350명 이상) 커멘트를 달았어요. 

     

    다양한 반응들이 있는데 몇가지 추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결혼과 출산이 여성들에게 불리한 사회에서 놀랍지 않은 현상이다

    - 이런 저출산으로 가다가는 북한이 남한을 점령하는 건 시간 문제다

    - 바보들아, 이건 다 경제 때문이다

    - 장시간 근무가 요구되는 사회에서 가정은 가져서 뭐하나

    - 경제적인 지원으로 결혼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거라고 믿는 건 착각이다

    - 어차피 결혼을 해도 힘들고 안해도 힘들다 

     

    진지한 반응도 있고 장난 식의 반응도 있는데 어떤 기사에나 다양한 종류의 댓글이 달리니까 넘어가구요. 

     

    제가 가장 충격받았던 것은 바로 기사에 있는 첫번째 사진에 대한 반응이었습니다. 

    왜 커플이 나란히 손하트 만들고 있는 거 보이시죠? (사진에 실린 분들 죄송합니다)

     

    출처: Wall Street Journal

     

    이 손하트가 한류에서 유행해서 요즘은 정말 많이 쓰니까 누구나 무슨 의미인지 알고 있으려니 했는데

    저의 착각이었네요. 

     

    아래의 독자는 이 사진을 보고 가운데 손가락을 들어올린 줄 (엿먹으라는 제스쳐) 알았다고 합니다.

     

     

    어떤 독자는 손하트를 보고 도움을 요청하는 손짓이냐고 진지하게 물어보구요. 또 어떤 독자는 손가락으로 돈을 세는 모습, 그래서 돈을 요구하는 제스쳐라고 생각네요. 

     

    손하트를 보고 이렇게 생각할 수 있구나 하고 놀랐습니다. 

    특히 돈 세는 제스쳐 이건 생각도 못한 건데, 기사가 결혼과 출산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을 다루다 보니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구나 싶네요. 

     

    한류가 유행하고 미국에서도 손하트 쓰는 거 많이 봐서 대부분 손하트 정도는 알겠거니 했는데 

    하긴 월스트릿의 독자들이 국가나 연령층이 다양함을 고려하면 모르는 사람이 많은 것도 당연하겠죠. 

     

    그래도 앞으로 외국에서 손하트 쓸 때에는 보는 사람이 무슨 의미인지 모르거나 오해할 수도 있다는 생각도 해봐야 겠어요. 

     

    결국 이 기사가 저에게 준 결론: 손하트 쓸 때 주의하자 입니다. 

     

     

     

     

    2025.03.26 - [분류 전체보기] - 스포티파이(SPOT) 회사 정보, 주가

     

    스포티파이(SPOT) 회사 정보, 주가

    최근 스포티파이 (티커 SPOT)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스포티파이에 대해서는 수년 전부터 알고 있었는데 음악을 좋아하는 지인들이 스포티파이를 이용하며 정말 좋다고 추천했던 기억이

    firr.tistory.com

     

    2024.12.13 - [분류 전체보기] - 레딧(reddit)에 대해 알아보기: 회사 정보, 로고, 주가, 사용 경험, 전망

     

    레딧(reddit)에 대해 알아보기: 회사 정보, 로고, 주가, 사용 경험, 전망

    지난 3월 상장한 이후로 레딧(RDDT)의 주가가 260%가 넘게 급상승했는데요.레딧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레딧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레딧이란?레딧(Reddit)은 엔터테인

    firr.tistory.com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